‘헤어질 결심(2022)’은 박찬욱 감독 특유의 감각적인 연출과 미스터리적 서사, 그리고 격정적으로도 차분한 멜로 감성을 정교하게 녹여낸 작품이다. 탕웨이와 박해일이 그려내는 섬세한 감정선은 사랑이라는 단어로는 설명할 수 없는 끌림과 파국을 담아낸다. 이 영화는 단순한 로맨스도, 흔한 스릴러도 아니다. 사건의 실체를 좇는 탐문과 함께 마음의 실체를 탐색하는 독특한 형식의 멜로 스릴러다. 본 리뷰에서는 박찬욱 감독의 연출 언어, 인물 간 감정의 심화 과정, 그리고 영상미를 중심으로 '헤어질 결심'이 왜 특별한 영화인지 살펴본다.
박찬욱
박찬욱 감독은 ‘올드보이’, ‘아가씨’, ‘스토커’ 등에서 강렬하고도 세련된 연출력을 선보여왔다. 하지만 ‘헤어질 결심’에서는 기존보다 훨씬 절제되고, 정적이며 우아한 방식으로 감정을 조율한다. 이 영화는 그의 필모그래피 중 가장 ‘조용한 박찬욱’이라 불릴 만큼, 감정의 소리를 낮추면서 그만큼 깊이를 더한다.
극 중 형사 해준(박해일)은 산에서 벌어진 의문스러운 사망 사건을 수사하면서 피해자의 아내이자 중국인 이민자인 서래(탕웨이)와 만나게 된다. 그녀는 의심스러운 면이 많지만, 동시에 해준은 그녀에게서 눈을 뗄 수 없다. 이 감정은 처음에는 직업적 관심처럼 보이지만, 곧 통제할 수 없는 감정의 늪으로 빠져든다. 영화는 이 관계를 단순한 사랑이나 욕망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오히려 ‘알 수 없음’과 ‘모호함’ 속에서 자라나는 감정이 얼마나 무섭고 치명적인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정서적 복잡성은 박찬욱 감독의 연출로 더욱 도드라진다. 장면 전환, 화면 구성, 인물의 시선 배치, 그리고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장소(산, 바다, 계단 등)는 감정의 흐름을 시각화하며 서사의 여운을 더한다. 그의 스타일은 단순히 ‘예쁜 화면’이 아니라, 이야기의 한 축으로 기능한다.
멜로
‘헤어질 결심’에서 가장 인상적인 점은 등장인물들이 감정을 명확히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탕웨이가 연기한 서래는 표면적으로는 차분하고 수동적이지만, 그녀의 눈빛, 멈칫하는 손짓, 말의 맥락에는 수많은 감정의 파장이 숨어 있다. 박해일의 해준 또한 감정적으로 폭발하기보다는, 오히려 차갑고 논리적인 태도 속에 자신도 모르게 그녀에게 끌리는 내면을 표현한다.
두 사람의 관계는 점점 깊어지지만, 서로에게 다가가는 만큼 거리도 커진다. 경찰과 용의자, 남자와 여자, 한국어와 중국어, 윤리와 욕망. 수많은 경계선이 두 사람 사이에 존재하고, 그 틈이 만들어내는 긴장감이 관객을 잡아끈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서래의 감정은 더욱 애틋하고 절박해진다. 그러나 그녀는 감정을 말로 드러내기보다, ‘행동’과 ‘선택’으로 보여준다. 결국 영화는 말보다 중요한 것은 침묵 속에서 피어나는 감정의 무게임을 보여주며, 사랑의 또 다른 언어를 제시한다.
미스터리
‘헤어질 결심’은 그야말로 영상미의 결정체다. 정적인 미장센 속에서도 시선의 흐름, 색감의 변화, 공간의 배치를 통해 감정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전달한다. 감독은 감정을 직접 묘사하지 않고, 장면의 구도와 연출을 통해 감정 자체를 ‘보이게’ 한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벽을 사이에 두고 통화하거나,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같은 화면에 담길 때, 그들의 관계는 더욱 분명히 드러난다. 이질적인 언어와 환경 속에서 만들어지는 공감, 그리고 그 틈 사이의 고요한 떨림은 시각적으로 극대화된다.
또한 탕웨이의 연기와 함께 어우러지는 조명과 카메라 워크는 감정선을 더욱 섬세하게 끌어올린다. 특히 안개가 자욱한 산과 끝없이 펼쳐진 바다는 두 사람의 관계처럼, 아름답지만 불확실한 공간으로 기능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감정의 폭발이 아닌, 침묵과 시각적 메타포를 통해 완성된 ‘이별의 감정’ 그 자체이며, 박찬욱 영화의 미학이 극에 달하는 순간이다.
‘헤어질 결심’은 박찬욱 감독이 가장 섬세하게 다룬 작품이며, 사랑이라는 감정의 본질을 새롭게 해석한 수작이다. 사랑은 때로 말보다 침묵이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관계는 가까워질수록 더 아득해진다는 이 역설은, 영화 전반에 깊게 스며 있다. 미스터리와 멜로의 경계를 흐리며, 한 사람을 향한 시선이 어떻게 삶을 바꾸고 파괴할 수 있는지를 탁월하게 표현한 이 영화는 단순한 ‘로맨스’가 아닌, 사랑이라는 감정의 복잡한 풍경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