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커(Joker, 2019)’는 단순한 악당의 탄생기를 넘어, 현대 사회가 만들어낸 고립과 고통, 그리고 광기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DC 유니버스의 빌런이라는 상징적 존재를 주인공으로 끌어온 이 영화는 영웅의 대척점에서 탄생한 인간 조커, 아서 플렉의 삶과 내면을 깊이 있게 조명한다. 화려한 액션 없이도 심리적 긴장과 몰입을 유도하며, 사회적 불평등과 개인의 붕괴가 교차되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그려낸다. 본 리뷰에서는 고통의 누적이 만든 광기, 조커의 변화 속에 담긴 사회적 메시지, 그리고 인간성의 경계에 대해 짚어본다.
고통
조커, 즉 아서 플렉은 처음부터 악인이 아니었다. 그는 웃음을 주는 코미디언이 되고 싶었던 평범한 남자였고, 정신 질환과 가난, 외로움 속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으려 애썼다. 그러나 사회는 그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고, 일상은 끊임없는 상처와 모멸로 점철되었다. 복지 예산 삭감으로 약도 끊기고, 거리에서는 폭행당하며, 직장에서도 버림받는다.
그의 웃음은 병리적인 웃음이었지만, 동시에 비웃음과 조롱을 들은 후의 자기방어적 반응이기도 하다. 웃고 있지만, 그 웃음 속엔 울음이 묻어 있다. 영화는 이러한 아서의 내면을 조심스럽게 따라가며, 고통이 어떻게 광기로 전이되는지를 점진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결국 자기 존재를 입증받기 위해 폭력을 선택한다. 지하철에서의 총격 사건은 단순한 범죄가 아니라, 사회의 무관심과 억압이 폭발한 상징적 순간이다. 그리고 그 후, 그는 더 이상 ‘아서’가 아닌 ‘조커’로 자신을 규정하게 된다. 이 영화는 이 변화가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구조에서 비롯된 결과임을 강조한다.
광기
조커는 악인이 아니다. 이 영화에서 그는 오히려 피해자에 가깝다. 그는 빈곤층이며, 정신질환자이고, 돌봄이 필요한 존재였다. 하지만 고담시의 체계는 그를 보호하지도, 이해하지도 않았다. 영화 속 고담은 현대 자본주의 도시의 축소판으로, 빈부격차는 극심하고, 공공 시스템은 무너진 지 오래다.
그가 우상처럼 떠받들게 되는 머레이 쇼(로버트 드 니로 분) 역시 처음엔 조커의 꿈이자 위안이었지만, 나중엔 조롱과 이용의 대상으로 바뀐다. 이 변화는 미디어가 어떻게 개인을 소비하고, 버리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조커가 방송에서 머레이를 살해하는 장면은 단순한 범죄가 아니라, 공공의 시선과 자본이 만든 ‘공연적 분노’의 폭발이다.
조커를 추종하는 대중의 폭동 장면은 더욱 충격적이다. 폭력은 확산되고, 혼돈은 일상이 된다. 영화는 이 장면들을 통해 “누가 진짜 미친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조커가 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변해야 했던 것은 사회였다는 메시지를 강하게 던진다.
사회적 분열
‘조커’는 우리에게 불편한 질문을 던진다. 조커는 끔찍한 범죄를 저지르지만, 그가 겪은 고통을 알게 된 관객은 쉽게 그를 비난하지 못한다. 이것이 이 영화가 강력한 이유다. 우리는 언제든 조커가 될 수 있으며, 조커는 우리 안에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임을 영화는 암시한다.
호아킨 피닉스의 연기는 그 모든 경계를 무너뜨린다. 그의 체형 변화, 눈빛, 웃음소리, 걸음걸이 하나하나가 조커라는 인물을 완벽하게 구현한다. 그의 조커는 단순한 캐릭터가 아닌, 감정의 총체다. 그는 동시에 불쌍하고, 무섭고, 매력적이며, 거부감이 드는 존재로 그려진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정신병원 안에서 걷는 조커의 모습은 의미심장하다. 그는 더 이상 누구도 설득하지 않으며, 체념과 해탈의 경계에 서 있다. 그리고 영화는 묻는다. “과연 우리는, 그를 ‘괴물’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조커’는 단순히 DC의 악당 이야기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외면해온 사회적 모순, 개인의 고립, 정신 건강, 그리고 인간성에 대한 고찰이다. 이 영화는 ‘조커’라는 캐릭터를 통해, 사회가 만든 고통이 어떻게 한 인간을 무너뜨릴 수 있는지를 생생히 보여준다. 그리고 조용히 말한다. “당신은 정말, 그와 다른가요?”
내 안에 있는 조커는 있는가?
나는 조커가 될것인가?
나는 과연 조커를 진정 나라고 생각하는가?
이 세가지가 내머리속을 떠나지 않고 계속 생각 하게된다.
이처럼 어려운 날, 이처럼 어려운 시간, 이처럼 어려운 공간..
이모든 현실이 날 조커로 만들것같은 기분이 드는 밤이다.